본문 바로가기
취미생활/책이야기

메타인지 학습법 - 나를 제대로 알고 있나?

by sohappier 2022. 2. 21.
728x90

내가 안다는 함정

메타인지라는 용어 자체가 매우 생소했다. 메타인지가 무엇이기에 학습법에 활용을 하라고 하고 이렇게 크게 이슈가 되는 걸까? 궁금해졌다. 메타인지는 '자신의 거울'이라고 표현이 되어있었다. 나를 비추는 거울이라는 뜻으로 들렸다. 나는 나 자신을 잘 알고 있을까? 내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들은 정말 알고 있는 것이 맞을까?라는 질문을 하게 만든 책이다. 아이의 학습을 효율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법이 소개되어 있을까?라고 시작한 책이었지만 <메타인지 학습법>을 통해 단순히 아이의 학습에 대한 의식 뿐만아니라 내가 살아가는 데 사용되는 메타인지를 점검해 볼 수 있는 기회였다. 다만, 한 가지 메타인지라는 것에 너무 얽매여서 삶에 지장이 생길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한편으로는 들었다. 내가 나를 잘 아는 것도 중요하고 내가 알고 있다는 함정에 빠져서 가면을 쓰고 살아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아니지만 사람들은 누구나 가면인 줄 알지만 가면을 쓰고 살아가기도 하니까 말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학습에 있어서의 메타인지는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내가 아는 것과 모르는 것, 내가 이해한 것과 이해되지 않는 것, 내가 기억할 수 있는 것과 잊을 수도 있는 것을 제대로 알고 학습을 하는 것과 모르고 맹목적으로 하는 학습과는 질적으로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더 나아가서 내가 지금 그저 잘하고 있다는 생각에 빠져서 자신의 부족한 점을 채우는 것을 놓친다면 이것만큼 치명적인 일은 없을 것이다. 내 아이가 이러한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본다.

 

내 아이의 선택을 나는 믿는가?

메타인지, 나를 잘 아는 법을 배우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이 스스로 결정하고 실행하는 경험인 것 같다. 실행에 따른 결과를 스스로 책임지는 과정 또한 너무나 좋은 배움의 과정일 것이다. 그러나 아이의 선택을 믿어주는 것이 참 쉽지 않은 것 같다. <메타인지 학습법>을 통해 깨닫게 된 나의 오류가 있다. 바로 내가 아이보다 더 많이 알고 있고 내가 알고 있는 것이 맞는 정답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정말 잘못된 생각이다. 아이보다 더 많이 알고 있는 것은 아이보다 30년 더 살아온 내 경험일뿐 그것이 정답이라고 장담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내 경험과 내 기준에 아이를 올려두고 판단하고 강요하는 것은 정말 잘못된 행동이었음을 깨달았다. 아이의 생각과 선택을 존중해주되 나의 경험을 아이에게 들려줌으로써 선택에 참고할 수 있는 정도면 그것으로 내 역할을 다 한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또한 나의 높은 기대치가 아이로 하여금 뭐든지 잘해야 하고, 그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것에 대한 자책에 빠지게 만들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아찔해졌다. 나의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만들었다고 하는 그 기대치는 아이의 성향과 아이의 의견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단순히 나의 욕심으로 채워졌다는 것도 다시금 깨달았다. 아이를 믿고 기다려주기, 아이의 선택권을 존중해주기 이것이 지금 나에게 가장 필요한 일임을 알게 해 준다.

 

질문으로 높여 줄 수 있는 메타인지

나의 행동의 변화 만으로도 아이의 메타인지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좀 더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생활 속에서 질문하는 방법의 차이를 알려주었다. 예를 들면, 공부를 마친 후 "일주일 후에 기억할 수 있겠어?"라고 묻는 것과 "일주일 후에 얼마나 잊을 것 같아?"라고 묻는 것의 차이를 이야기한다. 대부분 전자로 질문하지 않을까? 나도 그렇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여기에서 큰 차이가 있는데, 기억할 수 있는가 라는 질문에는 기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착각의 메타인지가 작동하게 되지만, 얼마나 잊을 것 같아 라는 질문에는 내가 잊을 수도 있어.라는 메타인지가 작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의 질문을 받은 아이들은 내가 기억을 다 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는 오류에 빠지지만, 후자의 질문을 받은 아이들은 내가 정말 얼마나 기억을 할 수 있을까? 잊을 수 있을 만한 건 어떤 게 있을까?라는 생각을 통해 다시 한번 학습을 되돌아보며 진짜 알고 있는 것과 아직 확실하지 않은 것을 분간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처럼 간단히 질문의 형식만 변경을 하여도 아이들의 메타인지를 높여 줄 수 있다. 이런 과정 속에서 아이가 스스로 학습동기까지 찾아가게 된다면 자발적인 학습까지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내 아이를 믿는다. 그리고 기다려준다.

<메타인지 학습법>를 통해 나는 두 가지를 기억하려고 한다. 내 아이의 선택과 행동을 믿는다. 그리고 그 시간들을 응원하며 기다려준다. 이 두가지를 기억하고 지낸다면 일단 아이의 메타인지 성장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생각했다. 질문법은 생각이 좀 필요한 과정 같다. 지금까지 해오던 질문을 한 순간에 바꾸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두 가지만 기억하고 행동한다면 자연스럽게 따라오는 질문들이 생길 것 같다. 단순히 아이의 학습을 위한 메타인지가 아니라 내 아이가 현명하고 지혜로운 아이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것임을 기억하고 아이의 모습을 바라보는 눈을 가질 것을 다짐해본다.

728x90

댓글